티스토리 뷰

미국 CPI 발표 이후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가 강화되면서 달러 약세가 지속되고, 이에 힘입어 1,380원 초반에서 1,370원대 안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전일 환율은 1,381.7원에 마감한 뒤 야간장에서는 1,379.4원으로 하락했고, 역외 NDF는 1,377.5원까지 내려가며 하락세를 뒷받침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9월 빅 컷 가능성이 부상하면서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유로/달러는 1.17선을 돌파했습니다. 궁극적으로 환율은 미국과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만큼, 향후 미국 성장 기대치 하락과 한국 반도체 수출 회복이 겹친다면 원화 강세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연준 9월 빅 컷 기대 고조, 달러 약세 속 원화 강세 가능성
연준 9월 빅 컷 기대 고조, 달러 약세 속 원화 강세 가능성

1. 원·달러 환율, 역외 매도세와 연준 인하 기대 속 1,370원대 진입 시도

원·달러 환율은 최근 미국 CPI 발표와 연준 금리정책 전망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일 환율은 미국 7월 CPI가 시장 예상에 부합하면서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확대되자 달러 약세에 힘입어 하락 개장했습니다. 장중 한때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1,386원까지 반등했지만, 국내증시 호조와 외국인 자금 순유입 등 위험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1,380원대 초반으로 밀려났습니다. 결국 전일 종가는 1,381.7원으로 마감했고, 이는 전일 대비 8.2원 하락한 수준이었습니다. 야간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지속되며 추가 하락이 이어졌고, 환율은 1,379.4원에서 마감했습니다. 역외 NDF 시장에서도 같은 흐름이 나타나 최종적으로 1,377.5원에 거래를 마치며 하락 압력을 재확인했습니다. 오늘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와 역외 거래 흐름을 반영해 1,380원 부근에서 하락 개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 고용 부진과 물가 안정 흐름이 맞물리면서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에 50bp 수준의 ‘빅 컷’을 단행할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달러 약세 압력은 한층 더 강화될 수 있고,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80원선을 하회한 뒤 1,370원대에 안착을 시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연휴를 앞두고 역내 거래가 다소 한산한 만큼, 실제 환율 하락세는 역외 플레이어들의 달러 매도세가 주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달러 약세가 이어지고 외국인의 국내 증시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환율은 50일 이동평균선인 1,375원까지도 무난히 내려갈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금융시장 반응, 달러 약세와 유로 강세가 보여준 흐름

글로벌 외환시장은 미국의 금리정책 전망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달러 약세 기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전일 미국 달러화는 연준의 9월 금리인하 기대, 특히 빅 컷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27% 하락하며 97.79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7월 CPI 발표 이후 현재 FedWatch에 반영된 9월 금리인하 확률은 100%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25bp 인하가 95.8%, 50bp 인하가 4.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지속적인 연준 압박도 빅 컷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가 지금보다 3~4%포인트 낮아야한다고 발언했으며, 베센트 장관은 9월 50bp 인하를 시작으로 향후 150~175bp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 국채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하락했으며, 대표적으로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4.236%로 5.5bp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또한 연준의 인하 기대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유럽 외환시장에서는 유로화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에서 휴전 논의가 기대되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되었고, 이에 유로/달러 환율은 7월 말 이후 처음으로 1.17달러선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달러 약세 기조가 글로벌 차원에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원화 역시 이러한 흐름을 따라가며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3. 환율은 결국 펀더멘털 싸움, 성장 기대치 격차가 결정한다

환율의 단기 변동성은 정치적 이벤트나 금리정책 변화, 외국인 자금 흐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궁극적으로 환율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는 양국 경제의 펀더멘털 차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실질 경제성장률과 성장 기대치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환율은 현재 경제 상황뿐 아니라 미래 성장 전망까지 반영하는 시장이기 때문에, 향후 미국과 한국의 성장 기대치 격차가 원·달러 환율 방향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올해 2분기 무렵에는 미국의 2026년 성장 기대치가 상호관세 우려로 크게 하락하면서 원·달러 환율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6월 이후부터는 미국 성장 기대치가 다시 상승 전환한 반면, 한국은 관세 영향과 건설경기 둔화 우려로 성장 기대치가 하락하며 환율도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달러 원 환율 흐름을 결정할 주요 변수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미국 고용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성장 기대치가 낮아질 경우 달러 약세는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둘째, 한국에서는 반도체 수출 회복세와 건설경기 반등 여부가 관건입니다. 만약 한국 경제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미국 성장 기대치가 둔화된다면, 양국 간 성장 기대치 격차는 줄어들고 원화 강세 압력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다시 말해, 단기적으로는 금리와 정치 이벤트가 환율을 흔들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펀더멘털의 방향성이 환율을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될 미국 고용 및 성장 지표, 그리고 한국의 수출과 건설경기 흐름을 면밀히 주시해야 합니다.